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3

연말정산 주거공제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은 아는 만큼 더 많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의 대표적인 공제 항목 중 주거에 관련된 공제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월세를 내거나 전세자금을 대출 받으신 분 또는 미래의 내집을 위해 주택청약을 넣고 있는 분들에게 적용되는 공제 입니다. 월세 공제 월세공제란 1년동안 월세로 들어간 돈의 일부를 세금으로 공제해주는 제도로, 1년동안 낸 월세의 12% 금액을 공제해줍니다. 월세 공제는 최대 750만원까지 적용되며 이를 12%로 계산하면 최대 90만원까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조건은 1년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의 직장인이며 무주택 세대주이고 주택, 오피스텔, 고시원에 월세를 내야 합니다. 또한 전용면적인 25평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의 집이어야 .. 2023. 1. 11.
연말정산 소득공제 알아보기 연말정산을 할 때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라는 말이 있는데 정확히 뭘 공제해준다는 건지 이해가 안갈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공제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의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근로소득공제와 별도로 제외하는 제도다. 소득공제를 적용하는 이유는 소득이 많다고 해서 돈을 많이 번다는 걸 뜻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득공제는 모두를 위한 정당하고 공정하게 과세하기 위한 것이며 소득 재분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소득공제에는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인적공제 : 기본공제, 추가공제 물적공제 : 연금보험료 공제, 특별소득공제(건강보험료공제, 주택자금공제 등), 신용카드공제, 기타 소득공제, 주택담보 노후연금공제 인적공제란 근로자의 부양가족에.. 2022. 12. 29.
연말정산 알아보기 오늘은 내년에 있을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이제 막 사회초년생이 된 직장인들을 위해 연말전산은 무엇이고, 언제 진행하는지 등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연말 기준으로 1년 치 세금을 정산하는 것을 말한다. 근로자가 급여에서 일괄 징수하는 세금은 각종 개인 사정을 적용하지 않아 정확하지 않지만, 정산 과정을 통해 납부해야 할 세금이 더 있으면 돌려받게 된다. 소비금액은 개인이나 피부양자, 기부금, 금융상품 등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연말정산 과정을 통해 원천징수세액을 정리하고 확정하는 것이 다. 한마디로 미리 낸 세금이 정산한 세금보다 많으면 돌려받는 것이고 적으면 세금을 더 내는 것이다. 연말정산 기간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보면 20.. 2022.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