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수당2

휴일대체와 대체휴일과 보상휴가 알아보기 회사생활을 하면서 헷갈렸던 휴일대체, 대체휴일, 보상휴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슷하듯 다른 이 세가지의 공통점은 쉬는 날이라는 건데요. 이 쉬는 날 일하게 되면 수당은 받을 수 있는 건지, 조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휴일대체 "휴일대체"란 회사와 근로자간에 미리 정한 휴일을 다른 근무일과 대체하고 근무일을 휴일을 하고 휴일에는 근무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갑자기 발생한 일로 휴일에 근무를 하게 된면 휴일은 근로일로 변경하고 근로일을 휴잉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즉 토요일에는 일하고 일요일이 아닌 월요일에 쉬는 경우를 발한다. 이때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서는 휴일대체 근거를 마련해야 하고, 대체 사유와 방법을 명시해야 한다.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등을 통하여 휴일의 대체를 사전에 .. 2023. 1. 2.
근로수당 알아보기 알고있으면 좋은 법정 근로수당과 비법정 근로수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근로수당을 확인하고 근로자의 권리를 찾아을 수 있길 바랍니다. 또한 비법적 근로수당을 확인하면서 자신이 다니는 회사에 어떠한 혜택이 있을 수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근로기준법에는 의무적으로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및 출산휴가 수당, 연차수당, 생리수당을 법정수당이라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어길시에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5인 이하의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 중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수당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법정수당의 소멸시효는 3년으로서 사유발생일로부터 3년까지는 언제든지 청구할 수 있습니다. 법정수당 법적으로 지급이 강제된느 수당으로 .. 2022. 12. 30.